탈중앙화거래소 스프릿스왑(Spritswap)이 이스라엘의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 오브스가 자체개발한 'dTWAP' 을 통합했다. dTAWP은 탈중앙화되어 별도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은 디파이 프로토콜이다. dTWAP이란 'Decentralized Time-Weighted Average Price'의 줄임말로, 주로 중앙화거래소에서 자주 사용되는 는 알고리즘 전략인 TWAP을 탈중앙화 방식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는 하나의 거래를 다수의 소규모 거래로 나누고, 지정기간 동안 거래를 실행해 대규모 주문이 시장에 일시적으로 미치는 큰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식이다. 스프릿스왑 사용자는 dTWAP 주문 기능을 통해 보다 정교한 거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탈중앙화금융 거래시 낮은 유동성으로 인해 가격적인 피해를를 최소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dTWAP을 활용해 자동화된 DCA(적립식 투자)등 다른 방식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번 통합을 통해 스프릿스왑은 디파이업계 최초로 TWAP 거래 주문 방식을 도입한 DEX-AMM이 되었다. 오브스에 따르면 오브스의 레이어3 인프라의 기능을 활용한 디파이 기능을 활용하면 탈중앙화거래소들이 탈중앙화 기능을 희생하지 않아도 사용
레프 파이낸스(Ref Finance) 가 V2 출시를 통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시장에서 새롭게 도약한다. 레프 파이낸스는 곧 출시될 V2 프로토콜을 통해 기존 탈중앙화 거래 시장에서 강력한 사업자인 '유니스왑 V3(Uniswap V3)' 보다 경쟁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 FTX 파산 사태로 인해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탈중앙화거래소(DEX)가 각광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V2 출시가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기대된다. 레프 파이낸스에 따르면 유니스왑 V3를 통해 기존에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해 지정가 주문을 지원하는 이산화(Discretized) 유동성 AMM(DLAMM)과 같은 혁신적인 추가 기능을 제공해 사용자를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유니스왑 V3의 집중화 유동성을 개량한 기능으로 iZUMi Finance, Arctic 양사와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가능했다. 이산화 유동성 기능을 통해 레프 파이낸스는 기존 탈중앙화거래소의 장점을 살리면서 중앙화거래소와 같은 거래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레프 파이낸스는 V2 버젼을 통해 이산화 유동성 공급 외 다양한 강점을 제시한다. 이전 버젼 대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인트(Bitpoint) 재팬이 IOST의 파트너노드로 합류할 예정이다. IOST에 따르면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인트는 IOST의 생태계 일원인 '파트너 노드'로 합류했다. 파트너노드란 IOST 생태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파트너사를 일컫는 말로, 네트워크 검증에서 부터 마케팅, 스테이킹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을 생태계를 위해 지원한다. IOST는 지속적으로 일본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다. IOST는 29번째로 일본 금융청(FSA)의 승인을 받아 일본 내 대형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체크(CoinCheck), 오케이코인 재팬(OkCoin Japan)에 상장된 바 있다. 뿐만아니라 IOST 기반 일본 엔화 페깅 스테이블 코인인 'JPYA'를 출시하고 일본 킨다이 대학교와 공동으로 해커톤 행사를 공동 주최, 일본 종합격투기 단체 라이진(RIZIN)의 NFT 발행 플랫폼으로 선정되는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해 일본 시장 진출을 노력해 왔다. 한편, IOST는 세콰이어(Sequoia), 매트릭스(Matrix), 젠펀드(ZhenFund)와 같은 대형 VC을 투자와 함께 런칭한 인프라 프로젝트로, 싱가폴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인프
이스라엘의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 오브스의 토큰 'ORBS'가 10월1일 오후1시(한국시간 기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Huobi)에 상장한다. 후오비는 약 1,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일 거래량 40억 달러 이상의 전세계 탑10 거래소로, 500종 이상의 다양한 암호화폐 현물을 비롯 파생상품 거래, 대출, 스테이킹, OTC 데스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브스는 이미 한국의 업비트, 빗썸을 비롯 FTX, 쿠코인(KuCoin), 게이트아이오(Gate.io), 라토큰(Latoken), 코인스빗(Coinsbit), P2PB2B, 비박스(Bibox), 인도닥스(Indodax) 등과 같은 탑티어 중앙화 거래소 상장되어 있으며, Uniswap, Sushi, Quickswap, Spookyswap, TraderJoe 와 같은 DEX에도 상장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BNB체인, 폴리곤, 아발란체, 솔라나, 하모니, 크로노스 등 7개 주요 디파이 체인까지 지원해 폭넓은 생태계 지원 환경을 구비하고 있다. 오브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후오비 상장은 다양한 파트너십 발표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오브스는 최근 폴리곤과 함께 디파이 엑셀러레이터…
싱가폴 기반의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 IOST가 블록체인 전문 인큐베이터인 '트랜샌드 랩스(Transcend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웹3 분야에 대한 협업을 강화한다. 트랜샌드 랩스는 유럽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스타트업 및 초기 단계 프로젝트를 위한 토크 노믹스 모델링, 시장 출시 전략, 마케팅, 커뮤니티 구축에 주력하는 블록체인 인큐베이터로, 협업하는 프로젝트 팀에게 세계적 수준의 투자자 연결, 멘토 제안, 인적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IOST는 트랜샌드 랩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탈중앙화금융(DeFi), NFT, 게임파이(GameFi), 메타버스 기반 탈중앙화앱(Dapp)등 다양한 웹3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지원과 협업, 생태계 확장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IOST는 세콰이어(Sequoia), 매트릭스(Matrix), 젠펀드(ZhenFund) 등의 VC가 주도한 투자와 함께 5년 이상 업계에서 활약한 프로젝트이다. IOST는 중국의 CCID가 선정한 퍼블릭체인 순위에서 기반 기술(Basic Technology)분야 연속 1위를 차지한 저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20개국 이상에서 60만 명 이상의 커뮤니티, 400개 이상의 노드,…
(출처 : zuu.co.jp) IOST가 일본 내 설문조사를 통해 '미래의 가장 유망한 코인' 중 15위를 차지했다. IOST에 따르면 일본의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잡지인 넷머니(Net Money)사가 2022년 6월 실시한 '암호화폐 자산 사용 현황' 조사에서, IOST는 미래의 가장 유망한 코인 15위로 선정되었다. 해당 설문 조사는 일본 내 거래소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일본의 20~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결과이다. 응답자의 48%는 암호화폐 자산 중 시가총액 1위이자 가장 큰 신뢰를 얻고 있는 비트코인(BTC)을 선택했으며 주요 메이저 암호화폐인 ETH(6.9%)와 XRP(5.6%)가 뒤를 이었다. IOST는 비록 15위를 기록했지만, IOST보다 높은 시가총액의 암호하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IOST 관계자들은 "이번 성과는 일본 시장에서 암호화폐 자산가들에게 저희 IOST의 프로젝트의 매력과 코인의 잠재력이 경쟁사보다 우위에 있다는 근거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더 높은 선호도와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고 전했다. 한편, IOST는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높은 수수료와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 IOST와 W2E(Watch-to-Earn)프로젝트 로파이(LOFI)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LOFI는 트위치, 유튜브 등 다양한 비디오 플랫폼에서 비디오를 시청하는 사용자를 타겟으로 기존의 비디오 시청 방식보다 더 많은 혜택하는 프로젝트로, 스트리머와 팬이 토큰에 기반해 공생하는 모델을 통해 참여를 이끌어내는 W2E(Watch-to-Earn)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LOFI 팀에 따르면 처음으로 지원하는 체인은 BSC(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이지만, 추후 멀티체인 확장을 통해 IOST를 지원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IOST는 생태계 확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X2E 프로젝트들을 발굴 및 협업하고 있으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IOST 커뮤니티에 고품질 탈중앙화 앱(DAPP)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IOST는 세콰이어(Sequoia), 매트릭스(Matrix), 젠펀드(ZhenFund)와 같은 대형 VC을 투자와 함께 런칭한 인프라 프로젝트로, 싱가폴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다. 중국의 CCID가 선정한 퍼블릭체인 순위에서 기반 기술(Basic Technology)분야 연속 1위를 차지한…
맵 프로토콜(Map Protocol)이 IOST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dApp을 옴니체인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개발 지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MAP 프로토콜은 개발자가 간단한 조치를 통해 옴니체인 dApp을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상호 운용 가능한 웹3 네트워크아다. 맵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암호화폐, NFT 및 데이터가 모든 체인에서 최소 비용으로 안전하고 원활하게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맵 프로토콜은 다양한 체인을 연결, 보안 완결성을 제공하고, 낮은 크로스체인 가스 요금을 부과하는 등 완성형 dApp 개발 서비스 툴킷을 제공하는 옴니체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필 라우(Phil Lau) 맵 프로토콜 CTO는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공간에서 진정으로 탈중앙화된 옴니체인 인프라로서 맵 프로토콜은 IOST 생태계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옴니체인 업그레이드를 위한 SDK를 제공할 것입니다. 업그레이드는 IOST 생태계의 모든 잠재력을 공개하고 다른 블록체인 사용자들에게 장벽을 없앨 수 있습니다." 고 전했다. IOST의 CMO인 블레이크 정(Blake Jeong)은 “맵 프로토콜이 저희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개발자들에게 최첨단 옴니체인 기술을 제공하게 된 것
오모치(Omochi Ltd.) 의 CEO인 토모히사 아와모토(Tomohisa Iwamoto)는 IOST 블록체인으로 구동되는 NFT마켓 플레이스인 "토모니티(tomonity)"의 출시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플랫폼 런칭에는 일본의 유명 NFT 아티스트, 3D 크리에이터, 일러스트레이터 총 7명이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모치는 웹 디자인/시스템 구축, 디자인 및 운영 지원 및 개발, 제품 및 서비스의 프로모션/마케팅, 웹 미디어 관리 서비스/ 패션 사업을 영위중인 기업으로, 이번 플랫폼 구축은 암호화폐나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이 없는 아티스트나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플랫폼 가입시 자동으로 제공되는 전용 지갑을 도입해 사용자는 암호화폐 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지갑이 필요하지 않아 기존에 암호화폐 사용을 위해 지갑 사용법을 숙지 및 엄격히 관리해야하는 어려움이 없다. 또, IOST의 자체 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통상 사용자가 원래 거래 비용(가스 수수료)을 토모니티가 부담해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토모니티는 특히 사용자, 컬렉션에 대해 고유한…
스위스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 스마트 밸러(SMART VALOR)가 자국의 두카스카피(Dukascopy) 은행과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은행계좌 연동을 통한 원터치 암호화폐 구매가 가능해졌다고 발표했다. 스마트밸러에 따르면 이번 협업을 통해 두카스카피 은행 계좌를 보유한 사용자는 '은행 계좌 연동'기능을 활성화해 별도로 스마트 밸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즉시 암호화폐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암호화폐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약 2영업일 가량이 소요되는 자금 송금 과정을 통해서만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기능 도입을 통해 두카스카피 은행 계좌 보유자는 자신의 은행잔고에 따라 즉시 암호화폐 구매를 가능하게 해 사용자 환경 측면의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이번 양사 간 연동이 이루어진 것은 무엇보다 암호화폐 거래소로서 스마트밸러가 보안영역 및 사업 안정성 측면에서 신뢰를 제공했기에 가능한 일이라 가능하다 볼 수 있다. 두카스카피 은행은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뱅킹 등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위스 온라인 은행입으로, 스위스 제네바 본사를 비롯, 리가, 키예프, 모스크바, 쿠알라 룸푸르, 홍콩, 상하이, 두바이